본문 바로가기
부모답게 사는 것

미디어노출제한 - 전원차단

by Your U.U 2023. 2. 22.
728x90
반응형

 

이사 온 집의 장점 : 버튼 하나로 차단되는 전원

 

 

 

수많은 건물들이 지어지고 수없이 많은 곳이 리모델링되는 곳이 바로 한국이 아닐까 싶은데요. 그만큼 트렌드에 민감하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쉬운 사람들이 바로 우리나라 사람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유럽이나 미국보다 저는 이점이 참 좋은 것 같습니다. 바로 디지털 제품 같은 것이 좀 더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개선되고 또 빠르게 발전하기 때문일지 모르겠습니다. 

 

집이라는 공간에서 전기를 끌어다 쓰는 제품이 정말 어마어마합니다. 전기가 차단되면 어떻게 살지 막막하기도 하죠. 그 전기의 첫번째가 바로 조명인데 조명을 켜고 끄는 버튼마저 새로 지은 아파트나 리모델링한 카페 등에서 '요즘의 것'으로 보이는 것이 있습니다. 

미디어노출제한 - 전원차단

 

이전에는 모양이나 색깔등이 그걸 알 수있었는데 요즘은 조명 버튼도 터치식으로 바뀌었더군요. 이전에 살던 집에서는 모든 방의 스위치가 버튼형식이었는데 이사 온 집에서는 안방과 거실에는 이렇게 터치식 버튼이 장착되어 있었습니다.

 

물론 이러한 방식이 시각장애인이 에게는 어려울 수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대학교 때 처음 터치식 폰을 마주했을 때도 터치폰의 시각장애인 사각지대에 대해 과제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산업이 발전하고 많은 것이 업그레이드되더라도 누군가에게는 소용없을 발전도 있기 마련이죠

 


어쨌든, 

 

제가 이 터치식 버튼을 소개하는 이유는 그런 이유보다는 바로 조명뿐 아니라 전원차단을 할 수 있는 버튼이 있다는 점을 알려드리려고 함에 있습니다. 많은 콘센트들이 멀티탭을 거쳐 집안의 전기를 공급하고 있는데 거실에서 사용하는 전력에 대해서만 차단버튼과 상시 자동을 선택할 수 있더군요.


 

이 버튼이 왜 있을까 처음에는 의야했지만 제가 이 버튼의 유용한 점을 찾았습니다. 

바로 - 아이가 티비를 볼 수 없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미디어노출제한 - 전원차단

 

티비가 놓인 쪽의 전력을 차단해 버리면 됩니다. 요즘 아기가 많이 커서 이것저것 누르기도 하고 이제는 올레티브이 지니스피커의 전원버튼을 이용해 티비를 자꾸 틀어버리더라고요. 아이를 키우면서 미디어노출을 피할 순없지만, 그래도 아이가 떼를쓰며 티비를 더 보겠다고 할 때 아예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하니 티브이 보기에서 스스로 물러서서 할 수 없는 일이라고 인지하더군요.


 

그래서 요즘 저는 아이에게 미디어 노출을 꼭 해야만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이곳의 전력을 차단해 두고 있습니다.

 

눌러도 소용없는 스위치를 만지작 거리던 아기는

이젠 눌러봤자 소용이 없다는 걸 알고 장난감이나 인형등을 가지고 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요즘 거실의 스위치를 저희 부부는 이사 온 집에서 가장 훌륭한 버튼으로 칭송하고 있습니다.

 

 

 

 

 

 

 

 

 

 

※  모든 글에 대해 출처 없이 사용하는 것과 복제하는 것을 원치 않습니다.

 

 

728x90